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332

지금은 악재가 터지고 더 안좋아질가능성 지금은 경지침체 인플레는 더 심해질 것 같습니다. 금요일 미국 소비자물가 지수가 예상 치르 뛰어넘었습니다. 생각보다 더 심각할 수 있습니다. 금요일 악재가 터졌는데 소비자 물가지수가 전년 대비 8.6% 상승했습니다 나스닥은 급락을 했고 애플, 마이크로 소프트 역시 급락을 했습니다. 저도 미국장 시작할 때만 잠시 미국 증시를 봤었는데 새벽이 잠시 나스닥증시를 보니 급락해서 너무나 놀랬습니다. 저의 관심사는 애플 주식과 마이크로 소프트라서 120달러에 사서 175달러 전량 매도를 했습니다. 그리고 다시 매수를 준비 중이라 조금씩 매수하려고 하는 중입니다 그래서 저는 매수시기를 조금 더 늦추려고 합니다. FOMC가 더 금리를 올릴 것으로 보이고 소비자물가지수가 예상치보다 높게 나오다 보니 월, 화. 수는 아마.. 2022. 6. 12.
집 언제 사야할까 집을 언제쯤 사야 할까요 미국 FED의 기준금리가 본격화되고 임대차 3 법의 효력이 어느 정도 둔화되는 2023년을 전후를 정점으로 하락 반전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국내 주택시장의 정점을 예상을 해본다면 2023년 전후가 될것으로 예상이 되지만 이것은 어디까지나 예상이다. 그렇게되는 이유를 한번 확인볼것같으면 국내 금융시장 유동성과 대출금리 등에 영향을 미칠수 있고 미국의 기준금리를 예로 들수 있다. 미국 FRB가 2022년도 상반기 부터 기준금리를 인상하기 시작했고 2023년 중에는 2%에 도달할것으로 보이고 이 기준금리가 더 올라갈수 있다. 그렇다면 한국이라고 금리를 마냥 저금리로 할수 있을까요? 한국도 마찬가지로 금리를 올릴수 밖에 없고 2023년 2%에 도달하면서 2%인상시기가 2022년 하반기.. 2022. 6. 9.
한국은행 독립성??? 한국은행의 독립성?? 경제에 관심이 많다 보니 경제 관련 서적. 주식 관련 서적 미래를 바라보는 여러 전문가?? 전문가인지는 잘 모르겠으나 하나의 책을 내기까지는 그만큼의 그 분야에서는 전문가라고 나는 생각한다.하나의 책을 출간되기까지는 그 저자 역시 수많은 책을 읽었을 것이고 그러다 보면 전문가가 되지 않았을까 생각이 든다. 개인적으로 방송에 나와서 입으로 말하는 소위 경제전문가들은 별로 신뢰를 하지 않는다. 방송이라는 자체가 광고를 먹고 살기 때문에 온갖 이해관계가 얽혀있는 방송이다. 그러다 보니 참고할 할 뿐 정확한 분석과 팩트는 개인적으로 책을 보고 참고를 많이하는 편이다. 그러나 그 책이란 것도 책을 낼려면 그 종이가 아까운 책들도 보인다. 그냥 아름다운 미사여구 같고 어린아이가 화장을 한 것처.. 2022. 6. 8.
가계부채 위기 한국의 가계부채위기 정치인들의 가장 달콤한 정책이 부동산 시장 안정화이다. 공급 확대와 수요 억제정책 두 가지로 나누는데 정치인들은 하나같이 공급 확대 방안으로 부동산값을 안정화하겠다고 한다. 공급을 확대하면 건설투자에도 좋고 소비확대는 물론 내수경기에도 긍정적이다. 공급을 확대하면 무주택자는 저렴한 가격으로 집을 사서 좋고 유주택자는 수택가격 상승을 기대할 수 있다. 그런데 문제는 구매능력이 없는 무주택자의 과도한빛이 문제다. 금리를 낮추고 대출 만기도 늘려주고 금리가 낮으니 늘어나는 유동성 시중에 돌아다니는 돈들로 인해 집값은 하늘높은줄 모르고 오르고 있다. 한국은 가장 많은 가계부채와 집값이 가장 많이 오른 나라가 됐다 정부의 무능함이라고 할수있다. 새로운 정부가 들어섰다. 구조조정 정책을 할수 있.. 2022. 6. 7.
728x90
반응형